본문 바로가기
주식연구소/주식입문

💰 주식 사는 법 – 시장가 vs 지정가 차이 쉽게 설명 (초보자용)

by 돈모으는 개미 2025. 5. 17.
반응형


주식 사려는데 ‘시장가’, ‘지정가’가 뭐예요?
처음 주식을 시작하면
앱에서 종목을 고르고 나서 마주치는 첫 질문이 바로 이것입니다:

“시장가로 주문하시겠습니까?”
“지정가로 주문하시겠습니까?”

무슨 말인지 몰라서 그냥 넘어가면
👉 원치 않는 가격에 매수되거나,
👉 주문이 체결되지 않는 경우도 생깁니다.

 

오늘은 시장가와 지정가의 차이를
📱 MTS(주식 앱) 화면을 기준으로
쉽고 실전적으로 설명해드릴게요.

 

주식 사는 법

 

✅ 시장가 vs 지정가 차이 요약

 

구분 시장가 지정가
의미 현재 시장에서 바로 체결되는 가격 내가 정한 특정 가격으로 주문
체결 속도 빠름 (즉시 체결) 느릴 수 있음 (가격 도달 시 체결)
가격 조건 시장에서 자동 결정 사용자가 직접 입력
장점 속도 빠름, 놓치지 않음 원하는 가격에 거래 가능
단점 원치 않는 가격 체결 가능성 체결 실패 가능성 있음

 

📲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
✔️ 시장가 주문
삼성전자 현재가 70,000원

시장가로 1주 주문 시
→ 70,100원이나 70,200원에 체결될 수도 있음
(= 호가창 상단 가격에 바로 체결)

 

✔️ 지정가 주문
삼성전자 목표 매수가 69,500원

지정가로 69,500원에 1주 주문 시
→ 그 가격까지 내려오지 않으면 체결 안 됨

 

💡 언제 시장가? 언제 지정가?

 

상황 추천주문 방식이유
빠르게 사고 싶을 때 시장가 체결 우선, 특히 장 시작/급등장
특정 가격 이하로 사고 싶을 때 지정가 가격 제한, 리스크 관리
거래량 적은 종목 지정가 예상치 못한 고가 체결 방지
단타 or 장타 단타: 시장가 / 장타: 지정가  

 

🧠 초보 투자자 팁
처음에는 지정가로 매수 연습부터 하세요
→ 시장가 체결은 빠르지만 예측 어려움

장 시작 직후 (9:00~9:10)에는
가격이 급변하므로 지정가 추천

장 마감 전 (3:20~3:30)은
시장가 체결이 더 원활

 

📌 정리 요약

시장가 가격보다 ‘속도’ 중요할 때
지정가 가격을 꼭 지키고 싶을 때
초보자 추천 처음엔 ‘지정가’부터 연습하세요
반응형